728x90
반응형
SMALL

Program/Vue 7

Vue-cli3 webpack 설정

출처 : https://github.com/leehan0617/vue-admin-sample/blob/master/vue.config.js // cumstom webpack을 추가하기 위해선 vue.config.js 파일을 만들고 이곳에다가 plugin설정을 하면된다. const webpack = require('webpack') module.exports = { configureWebpack: (config) => { // 공통환경 config.plugins = [ ...config.plugins, new webpack.ProvidePlugin({ $: 'jquery', jquery: 'jquery', 'window.jQuery': 'jquery', jQuery: 'jquery', moment: 'mo..

Program/Vue 2018.08.20

vue build 시 쌍따옴표가 삭제되서 에러 날 때(vue.config.js)

#Vue Cli 2 에서 설정 webpack,prod.conf.js 파일에서 removeAttributeQuotes: true, 를 removeAttributeQuotes: false, 로 변경 #Vue Cli 3 에서 설정 vue.config.js 파일 생성 후 1 2 3 4 5 6 7 8 9 10 module.exports = { chainWebpack: config => { if (process.env.NODE_ENV === "production") { config.plugin("html").tap(args => { args[0].minify.removeAttributeQuotes = false; return args; }); } } }; Colored by Color Scripter

Program/Vue 2018.08.01

Window 패키지 관리 Chocolatey

mac에서는 homebrew 라는 mac용 패키지 관리자가 있어 node, npm, yarn 등의 설치 및 관리가 쉬웠으나 window에서는 homebrew 같은 패키지 관리자가 없는 줄 알았다. 뭐 당연히 없는 줄 알고 안 찾아본 내 귀찮음이 문제였지만... 암튼 window에도 패키지 관리자가 있더라 ... 찾아보니까.. window에서 node나 npm, yarn 등을 설치할 때 가장 귀찮았던게 환경변수 설정이었다. 물론 자동으로 path 가 잡히면 좋은데 나 같은 경우에는 환경변수를 설정해야만 잡희드라...ㅠㅠ chocolatey 를 이용해서 node, npm, yarn 을 설치하니 안잡아도 되서 편하드라..ㅋㅋㅋ 그래서 자료로 남김. 우선 설치 방법 부터~ 1. 설치 cmd.exe 를 관리자 권..

Program/Vue 2018.08.01

Mac Homebrew 설치

Mac 에서 Homebrew 설치는 매우 간단하다 터미널을 실행한 후 아래의 명령어만 설치하면 끝 /usr/bin/ruby -e "$(curl -fsSL https://raw.githubusercontent.com/Homebrew/install/master/install)" 1. Homebrew로 설치 brew install node brew install watchman brew install yarn 2. 업데이트 brew update node 3. 삭제 brew remove node #brew 주요 명령 brew install formula // 패키지 설치 brew remove formula // 패키지 삭제 brew info formula // 패키지 정보 brew upgrade [formula..

Program/Vue 2018.08.01
728x90
반응형
LIST